반응형

전체 글 134

A/B 테스트와 검증

실험을 진행했는데 전환율이 2% 오른경우 그러면 우리는 실험안이 더 좋아진거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까요? 실험 결과와 상관없이 우연히 그 시즌에 전환율이 올랐던건 아닐까요? 통계적 유의성이란, 데이터 실험 결과가 우연히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실험에 의해 좋아진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A/B 테스트 가설 A/B 테스트는 가설로 부터 시작합니다. 가설 = 독립 변수 + 종속 변수 독립 변수는 인과 관계에서 원인이 되는 변수이며 종속 변수에 영향을 줄것이라고 기대되는 변수 종속 변수는 인과 관계에서 결과가 되는 변수이며 독립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변수 통제 변수는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실험/대조군에서 각각 동일해야하는 조건을 가진 변수 *독립 변수 외에 종속 변수에..

#6. 해시테이블2 / python set, dictionary

2023.09.29 - #1. 해시테이블 (hash) / python dictionary #1. 해시테이블 (hash) / python dictionary 데이터역량 키우는 하루하루의 기록 hanawithdata.tistory.com 이전에 list를 딕셔너리로 변환해서 빠르게 조회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보았다. 오늘은 해시테이블로 난이도가 좀 더 있는 문제를 풀어보려고 한다. https://leetcode.com/problems/longest-consecutive-sequence Longest Consecutive Sequence - LeetCode Can you solve this real interview question? Longest Consecutive Sequence - Given an u..

DRF APIView -> generic&mixin -> ViewSets 과정 차근 차근 알아보자

DRF에서 기능 구현은 아주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데, 제일 심플한 ViewSet으로 구현하게 될 경우 코드양은 매우 줄여지고 간편하지만, 유연하게 커스텀해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고 APIView 단계로 내려가면 직접 구현해주어야하는게 많아 코드양은 많아지지만 요구사항이 복잡할 때 유연하게 커스텀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ViewSet이 간단하다고 APIView 구현 로직을 모르고 계속 ViewSet만 사용한다면 나중에 직접 함수로 다양한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다른 블로그 글들을 보면서 과정은 계속 익혔는데, 아무래도 한번 직접 정리를 해야 완벽하게 정리가 될 것 같아서 직접 정리하기로!! 1. APIView 로 List & Detail 구현 장고 DRF의 기본 CBV(Clas..

#5. stack & queue

스택 & 큐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쌓아나가는 선형 자료구조 스택: 들어온 순서대로 쌓고, 맨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 먼저 꺼냄 , LIFO (Last In First Out) 설거지 괄호 짝맞추기 웹사이트 뒤로가기 큐: 들어온 순서대로 쌓고, 먼저 들어온 데이터 먼저 꺼냄 ,FIFO (First In First Out) 맛집 줄서기 프린터 출력 순서 등 순서대로 처리해야하는 업무에 적용 스택과 큐를 사용하는 문제들은 보통 리스트에 값을 차례로 쌓다가 특정 값을 마주칠 때 하나씩 pop() 해주는 문제이다. 대표적인 문제 예시로는 괄호 짝맞추기 문제가 있다. 문제를 풀이 컨셉은 "(" 괄호가 들어오면 스택에 쌓아주다가 ")" 괄호가 들어오면 pop() 해주면서 짝이 맞는지 검사하는것이다. 이렇게 ..

네트워크 배우면 까먹고 배우면 까먹고 ,, 기본 개념 확실히 정리하기 (1)

OSI 7계층, TCP/IP 등 공부는 했지만 공부하는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해본적이 없다보니 시간이 지날수록 머릿속에서 흐릿해져 갑니다. 그때마다 새롭게 공부하기 아쉬웠는데, 우연히 아주아주 잘 설명된 글을 하나 보게되어 이 글을 짧게 정리해두면 나중에 다시 보고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리합니다. 참고 글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75/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엄청 쉬운 네트워크 이야기 | 요즘IT 저는 5년차 개발자입니다. 회사에서 신입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다 보면 네트워크에 관해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저도 사실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그런데 일을 하다 보니 주니어 개발자 yozm.wishket.com https://yozm.wishk..

pycon 2021 | python & django 샌드버드 발표영상 시청 및 기록

https://www.youtube.com/watch?v=r6c9Us0vgRg&t=103 2021년 발표영상이라 2년정도 지나긴 했지만, 장고를 가지고 현업에서 어떤 고민을가지고 어떻게 개발하는지 궁금해서 시청하게 됐고 기록으로 남겨둘만한 포인트들이 있어서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1. DRF 를 통한 viewset과 serializer *주요내용 고민: ticket list API 를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야할까? 고민 이유: 티켓을 원하는 사용자는 크게 상담을 원하는 고객과, 상담사, 관리자, 분석가로 각각 필요한 ticket list가 달랐습니다. 방안1) ticket list API를 하나로 만들고 조건에 따른 분기를 로직내에 구현 방안2) 일정 기준에 따라 ticket list API를 여러..

requests.post() 로 tmap API 에 위치정보 POST해서 결과 받아오기

참고 링크 https://tmap-public-skopenapi.readme.io/reference/%EB%8C%80%EC%A4%91%EA%B5%90%ED%86%B5-%EC%9A%94%EC%95%BD%EC%A0%95%EB%B3%B4-api 대중교통 요약정보 API / title [s] /.App .rm-Guides header h1, .App .rm-ReferenceMain header h1, .App .rm-Changelog header h1 {color:#3b454e; font-size:32px;}.headline-container21aRBSn8Bqg6 .excerptT2m-MzSJGRK7 {font-size:18px;}h2.heading.heading .heading-text {font-size:2..

#4. 이중연결리스트 (Double Linked List) / python으로 구현

2023.10.05 - #3. 연결리스트 (Linked list) / python으로 구현 #3. 연결리스트 (Linked list) / python으로 구현 데이터역량 키우는 하루하루의 기록 hanawithdata.tistory.com 지난번엔 연결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단일 연결 리스트를 구현해보았습니다. 단일연결 리스트란 Node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next만 가지고 있는것입니다. 오늘 구현해볼 이중연결리스트 (double linked list)는 이전 노드를 값이 추가된 노드입니다. 단일 연결리스트는 next만 가지고 있어서 전방탐색만 가능하고 , 이중연결리스트는 앞, 뒤 모두 탐색 가능합니다. 대신 메모리를 더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구현하는것이 좋습니다. 코드 구현하기 자료구조:..

#3. 연결리스트 (Linked list) / python으로 구현

2023.10.01 - #2. 배열 (Array) / python list #2. 배열 (Array) / python list 데이터역량 키우는 하루하루의 기록 hanawithdata.tistory.com array는 이전글 참고해주세요. 이전글에서 List의 종류에는 array list와 linked list가 있다고 분류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Linked List를 알아보고 코드로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리스트의 구조 메모리상에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배열과 달리 연결리스트는 메모리상에 연속적이지 않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노드라는 단위로 구성되었고,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주소로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연결리스트의 가장 첫 노드를 가리키는 head가 존재합..

#2. 배열 (Array) / python list

배열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아주 기본적인 자료구조이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List는 크게 Array List 와 Linked List로 나뉘는데 먼저 배열부터 살펴보자. List Array List Array Dynamic Array (Python의 list) Linked List 배열은 다시 또 두가지로 나뉘는데 기본 정적 배열을 보완하여 동적 배열을 구현했다고 보면 된다. 파이썬의 리스트 타입 자료구조는 동적 배열로 구현되어 있다. 배열 (array) 배열의 두가지 특징 고정된 저장공간 순차적인 데이터 저장 배열 메모리 할당 int arr[5] = {1,2,3,4,5} 예를들어 위에 처럼 크기5의 배열을 선언한다면 int (4byte) * 5 = 20 byte의 공간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각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