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boostcourse.org/cs112/lecture/118997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 (CS50 2019)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컴퓨터 기초 강의중 유명한 cs50을 듣기 시작!
유튜브에도 영상이 있고, edx에도 있는데 아무래도 영어보다 한글이 이해하기 쉽고 부스트코스에 잘 정리해두어서 부스트코스로 들어보려고 한다.
1. 이진법
우리는 평소에 10진법을 사용해서 위에 숫자를 백이십삼이라고 읽는다.
하지만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한다.
왜 컴퓨터는 이진법으로 읽을까????
컴퓨터안에 있는 많은 부품들은 전기를 통해 작동하는데, 전기는 2개중 하나이다.
off or on / 1 or 0 / true or false / 전기 플러그인을 꽂거나 빼거나!!
컴퓨터안에 있는 굉장히 많은 트랜지스터(스위치) 들이 0 또는 1 상태로 정보를 저장하고 표현한다.
0또는1개를 표현하는 단위를 비트(bit) 라고 한다. (8bit = 1 byte)
문제) 13을 2진법으로 표현한다면?
(십진법) 13 = (이진법)1101
왜냐하면 2의3제곱(8) + 2의2제곱(4) + 2의0제곱(1)
2. 정보의 표현 (ASCII, unicode ,RGB)
컴퓨터가 읽는 2진법을 통해서 우리 화면에 수많은 정보를 어떻게 표현하는걸까?
- ASCII code (아스키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1byte로 영어 단어 한개를 표현할 수 있는데, 각 알파벳을 숫자로 정의해두었다.
만약 hi 라는 텍스트를 표현하고 싶다면,
h = 72 = 01001000 (2의 6제곱 + 2의 3제곱)
i = 73 = 01001001(2의 6제곱 + 2의 3제곱 + 2의 0제곱)
그런데 점점 표현해야하는 정보의 크기가 커지면서 Unicode 표준을 사용해서 더 많은 정보를 표현할수 있게 되었다. (이모티콘등)
이모티콘은 색깔이 있는데, 이 색깔은 어떻게 표현하는걸까?
모든 색은 Red, Green, Blue 의 조합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그래서 R = 72 , Green = 72, Blue = 33 조합으로 노랑색이 표현될 수 있다.
'Today I Learned > 컴퓨터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기초] 인터넷 관련 용어 정리 (0) | 2023.08.16 |
---|---|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개념 (0) | 2023.06.21 |
부울 연산과 논리 게이트 (컴퓨터에서 and, or, not이 동작하는 방법) (0) | 2023.06.07 |
컴파일러(compiler) vs 인터프리터(interpreter) 차이 (0) | 2023.05.31 |
[cs50] 알고리즘 (0) | 2023.05.31 |